sumti 승격
역자: CLL에서는 "sumti raising"라는 용어를 쓰는데 저는 그냥 "sumti 승격"이라고 번역했습니다. 그냥 제맘대로 했어요^^
tu'a
아래 문장을 로지반으로 번역해보자.
I try to open the door.나는 문을 열려고 노력했다.
mi troci le nu gasnu le nu le vorme cu karbi'o
참고로 karbi'o
는 kalri
와 binxo
의 합성어로, "열린 상태로 변하다" 정도의 의미를 갖는다. 문장을 분석해보자면, vorme cu karbi'o
가 문을 열다
의 의미이고, gasnu le nu le vorme cu karbi'o
는 앞에 mi
가 생략되어 있는데, 문의 열림의 원인이 나다
라는 의미이다. 여기에 마지막으로 mi troci
를 이용해서 I try
라는 의미를 추가했다.
영어와 한국어로는 간단한 문장이 로지반으로 쓰니까 너무 복잡해졌다. CLL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I try to open the door
를 I try the door
로 바꾸자고 제안한다. 이렇게 쓰더라도 영어 화자는 알아듣는데 문제가 없다. 이를 로지반으로 쓰면 아래와 같다.
mi troci tu'a le vorme
원래 문장의 le nu gasnu le nu le vorme cu karbi'o
를 통째로 tu'a le vorme
로 갈아끼웠다. 여기서 tu'a
는 sumti를 추상화로 바꿔주는 역할을 한다.
즉, tu'a le vorme
의 자리에 le vorme
와 관련된 어떤 사건이 들어간다고 생각하고 적당히 추론해서 읽으면 된다.
즉, nu
추상화가 길게 있을 경우, 해당 bridi에서 제일 중요해보이는 sumti를 골라서 (여기서는 le vorme
) tu'a
랑 같이 쓰면 된다.
tu'a le vorme
를 읽고 화자의 의도가 뭔지 파악하는 일은 100% 청자의 몫이다.
또다른 예시를 보자.
tu'a la 철수 cu cafne철수와 관련된 사건이 자주 생긴다.
철수는 사람 이름이고, cafne
의 x1 자리에는 사람 이름이 올 수 없다! cafne
의 x1 자리에는 사건이 와야한다. 따라서 여기서는 tu'a la 철수
라고 해서 철수와 관련된 사건
이라는 의미를 표현했다. 이게 le nu la 철수 klama le zarci
인지 le nu le pendo pe la 철수 cu morsi
인지는 문맥으로 파악해야한다.
jai
역자: 이 부분은 제가 이해를 잘 못했습니다. 죄송합니다.
<< 11.5.기타_추상화
12.0.lujv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