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ujvo
2장과 4장(작업 중)에서 lujvo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 바 있다. 로지반의 기본 gismu 1350개로는 세상의 모든 의미를 표현하기 부족하니 여러 gismu를 합성해서 하나의 lujvo로 만들 수 있다.
역자: 사실 12장은 굉장히 애매합니다. 12장에서는 lujvo를 만드는 방법에 대해서 가르치는데, 새로운 lujvo를 만들어야할 정도의 실력자라면 저보다 로지반을 더 잘할테니 굳이 이 글을 읽을 필요가 없고, 단순히 lujvo를 사용하고 싶으면 사전에서 뜻을 찾아보는 것으로도 충분하니까요.
CLL에서는 개집 (doghouse, 개가 사는 집)이라는 단어를 로지반으로 어떻게 만드는지를 차근차근 설명하고 있다. 같이 따라가 보자. 우리의 목표는 이것은 Spot이 사는 개집이다.
라는 문장을 로지반으로 쓰는 것이다.
먼저, 재료로 쓸 gismu 2개를 가져오자. gerku
와 zdani
가 그것이다.
gerku
: x1은 강아지다, x2 품종의zdani
: x1은 집이다, x2가 사는
lujvo를 만들기 전에 tanru를 만들어 볼 수 있다. (복습)
gerku zdani
: x1은 (강아지와 관련된) 집이다, x2가 사는
gerku zdani
는 여전히 집이지만, 강아지와 어떠한 방식으로 관련이 됐다는 의미가 추가되었다. 강아지가 사는 집일 수도 있고, 강아지 모양으로 생긴 집일 수도 있고, 강아지의 이름을 딴 집일 수도 있고... 아직은 의미가 애매하다.
tanru의 애매함은 절대 해소될 수 없다. 이 애매함을 해소하고 단어에 정확한 뜻을 주고 싶으면 새로운 lujvo를 만들어야한다. 한국어에서도 개
라는 단어와 집
이라는 단어를 같이 쓰는 것만으로는 뜻이 애매해서 개집
이라는 단어를 만들어서 사전에 등재해놓은 것처럼 말이다.
tanru에서 lujvo를 만들기 위해서는 rafsi를 정한 뒤, 적당히 붙이면 된다 (4장 참고). 원한다면 bo
, ke
등의 cmavo를 넣어도 된다. lujvo를 어떤 모양으로 만들지, 의미를 어떻게 줄지는 당연히 만드는 사람 마음이다! 우리는 ger
와 zda
를 합쳐서 gerzda
라는 lujvo를 만들자.
참고로 gerku zdani
를 gerzda
의 veljvo라고 부른다. 어떤 tanru를 이용해서 lujvo를 만들 때 그 tanru를 그 lujvo의 veljvo라고 부른다.
sumti 정하기
gerzda
를 만들었으니 이 단어의 의미를 정해야한다. 다시 말해, gerzda
의 sumti 자리에 무슨 단어가 올지를 정해야한다. 이것이 tanru와 lujvo의 가장 큰 차이점이다. tanru의 경우, tertau의 sumti와 tanru의 sumti가 동일하다. 위의 예시에서 zdani
의 x1과 gerku zdani
의 x1은 동일하고, zdani
의 x2와 gerku zdani
의 x2는 동일하다. 만약 gerku
의 x2를 쓰고 싶다면 5장 5절에서 배웠던 be
를 사용하면 된다.
gerzda
의 sumti는 어떻게 정할까? 이것도 만드는 사람 마음이지만, 아무렇게나 만들면 아무도 이 단어를 안 쓸테니 상식적으로 만들어보자. gerku
의 x1, x2와 zdani
의 x1, x2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면 이상적일 것이다. 또한, gerzda
도 어쨌든 집이니까 gerzda
의 x1과 zdani
의 x1이 동일하게 만들면 더 좋을 것 같다.
gerzda
: x1은 개집이다, x2가 사는, x3 강아지의, x4 강아지 품종의
무식하게 sumti 4개를 넣으려니 의미가 매우 어색해졌다. 이는 gerku
의 x1과 zdani
의 x2가 같기 때문이다. gerku
에서 설명하는 강아지가 gerzda
에 사는 그 강아지다! 이는 lujvo를 만들 때 아주 자연스러운 현상인데, 보통 lujvo는 관계가 깊은 단어를 합성해서 만든다. 당연히 몇몇 sumti가 겹칠 수 밖에 없다. 이를 반영해서 다시 만들어보자.
gerzda
: x1은 개집이다, x2(강아지)가 사는, x3 품종의
훨씬 낫다! CLL에서는 아래처럼 표현하기도 한다.
gerzda
: x1=z1은 개집이다, x2=z2=g1(강아지)이 사는, x3=g2 품종의
각 sumti가 어디서 왔는지를 나타내었다. z1은 zdani
의 x1이라는 뜻이고, g1은 gerku
의 x1이라는 뜻이다. gerzda
의 x2가 zdani
의 x2이자 gerku
의 x1이므로 x2=z2=g1이라고 표현하였다. CLL을 읽거나 로지반 사전을 찾을 때 보통 lujvo를 위의 방식으로 설명하니까 이 기회에 눈에 익혀놓자.
CLL에서는 gerzda
의 x3=g2 자리를 없애면서 이렇게 설명하고 있다: "이 집에 사는 강아지가 어떤 강아지인지 확정이 되면, 그 강아지가 무슨 품종인지도 자동으로 확정이 되므로 x3=g2 자리는 필요가 없다."
따라서 최종적인 gerzda
의 모습은 아래와 같다.
gerzda
: x1=z1은 개집이다, x2=z2=g1(강아지)이 사는
역자: 사실 이부분은 저도 이해를 못했습니다. 이런 식으로 치면 gerku
에서도 x2가 필요없는게 아닌가 싶어서요.
CLL에 따르면, lujvo를 만들 때 아래의 규칙들을 지켜야한다:
- lujvo의 마지막 글자는 무조건 모음이어야 하고 (a, e, i, o, u),
- lujvo의 첫 5글자 안에 자음뭉치 (자음 2개가 동시에 오는 것,
y
와'
는 제외)가 무조건 있어야 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lujvo가 저 규칙을 따르지 않는다 (링크1, 링크2). 대부분 1번 규칙은 지키고 2번 규칙은 안 지키는 듯 하다. 혹시 lujvo를 만들 생각이 있다면 참고하자.
13.0.감탄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