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속사
접속사는 두 문장을 하나로 이어서 새로운 논리를 만든다. 아래의 예시를 보자.
철수는 남자이고 영희는 남자이다.
위 문장은 철수는 남자이다
와 영희는 남자이다
가 합쳐져서 만들어진 문장이다. 위 문장의 참/거짓을 따지려면 원래 문장들의 참/거짓을 따진 뒤 둘을 이고
라는 접속사의 진리표(truth table)에 대입해야 한다. 아래처럼 말이다.
철수는 남자이다
가 참이고영희는 남자이다
가 참인 경우,- 위 문장은 참이다 (TT -> T)
철수는 남자이다
가 참이고영희는 남자이다
가 거짓인 경우,- 위 문장은 거짓이다 (TF -> F)
철수는 남자이다
가 거짓이고영희는 남자이다
가 참인 경우,- 위 문장은 거짓이다 (FT -> F)
철수는 남자이다
가 거짓이고영희는 남자이다
가 거짓인 경우,- 위 문장은 거짓이다 (FF -> F)
즉, 이고
의 진리표는 아래와 같다.
앞 문장의 참/거짓 | 뒷 문장의 참/거짓 | 전체 문장의 참/거짓 |
---|---|---|
참 | 참 | 참 |
참 | 거짓 | 거짓 |
거짓 | 참 | 거짓 |
거짓 | 거짓 | 거짓 |
위의 진리표를 잘 기억해두자. 저 진리표를 이해해야 이번 장을 이해할 수 있다.
두 문장을 연결하는 논리 접속사는 위와같은 진리표를 만들 수 있다. 진리표의 가능한 가짓수는 총 16가지이다 (전체 문장의 참/거짓에 행이 4개가 있고, 각 행은 참/거짓 중 하나가 가능하니까 2의 4제곱 = 16개). 대부분 언어의 논리 접속사들은 16개의 경우를 명확히 구분하지 않지만, 로지반은 16개의 경우를 모두 구분한다. 이제부터 하나씩 살펴보자.
TTTT
제목의 TTTT는 아래 진리표의 세번째 열의 값을 나타낸다. 앞으로 저런 제목이 15개가 더 나오니 익숙해지도록 하자.
앞 문장의 참/거짓 | 뒷 문장의 참/거짓 | 전체 문장의 참/거짓 |
---|---|---|
참 | 참 | 참 |
참 | 거짓 | 참 |
거짓 | 참 | 참 |
거짓 | 거짓 | 참 |
첫번째 논리 접속사는 '앞문장이 참이든 거짓이든, 뒷문장이 참이든 거짓이든 항상 전체 문장이 참이 되게 하는 접속사'이다. 한글로 풀어쓰기도 장황한 이 접속사는 당연히 아무짝에도 쓸모가 없다. 그래서 로지반에도 해당하는 접속사가 없다.
TTTF
앞 문장의 참/거짓 | 뒷 문장의 참/거짓 | 전체 문장의 참/거짓 |
---|---|---|
참 | 참 | 참 |
참 | 거짓 | 참 |
거짓 | 참 | 참 |
거짓 | 거짓 | 거짓 |
첫번째 문장과 두번째 문장 중 하나 이상이 참이라는 뜻의 논리접속사이다. 영어의 'and/or', 프로그래밍 언어의 'or'에 해당한다.
la 철수 cu nanmu .ija la 영희 cu nanmu철수와 영희 중 1명 이상은 남자이다.
참고로 .ija
의 .
은 문장 마침표가 아니다. 기억이 안 나면 3장을 다시 읽고 오자.
.ija
는 완전한 bridi 2개 사이에 들어가서 TTTF의 논리를 넣어준다. 위 문장의 경우, 두 bridi에 cu nanmu
가 중복되는게 거슬릴 수 있다. 이 경우 sumti 2개를 이어주는 .a
를 사용할 수 있다. 아래 예시를 보자.
la 철수 .a la 영희 cu nanmu철수와 영희 중 1명 이상은 남자이다.
.a
는 철수
와 영희
사이에서 둘을 TTTF라는 논리로 이어준다. .a
와 .ija
의 논리는 완전 동일하지만 .ija
는 bridi 2개를 연결하고 .a
는 sumti 2개를 연결한다.
tanru를 만들 때도 논리 접속사를 사용할 수 있다. 5장에서 보았던 je
, ja
가 그것이다. ja
를 사용하는 예시를 보자.
la 철수 cu nanmu ja ninmu철수는 남자이거나 여자이거나, 혹은 둘다이다.
nanmu ja ninmu
는 tanru로, 통째로 하나의 selbri이다. 즉, 위 문장은 la 철수 cu nanmu
와 la 철수 cu ninmu
를 TTTF의 논리로 붙인 것이다.
접속을 하는 또다른 방법으로는 ga
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ga
는 .ija
와 용법이 거의 비슷하지만 cmavo가 오는 위치가 조금 다르다. 아래의 예시를 보자.
ga la 철수 cu nanmu gi la 영희 cu nanmu철수와 영희 중 1명 이상은 남자이다.
조금 전에 봤던 .ija
를 이용했던 예시와 정확히 동일한 의미를 갖는 문장이다. 여기서는 문장의 가장 처음에 ga
가 옴으로써 TTTF의 의미를 미리 표현하고, 두 bridi 사이에 gi
가 와서 둘을 구분해준다. ga
는 bridi를 이을 수도, sumti를 이을 수도 있다. 아래처럼 말이다.
ga la 철수 gi la 영희 cu nanmu철수와 영희 중 1명 이상은 남자이다.
마지막으로, 두 bridi의 일부만 연결하는 gi'a
가 있다. 아래의 두 bridi를 보자.
mi dunda le cukta do나는 너에게 책을 준다.
mi lebna lo rupnu do나는 너에게 돈을 받는다.
위의 두 문장을 TTTF로 이어보자. 가장 간단하게는 .ija
를 이용할 수도 있겠지만, gi'a
를 이용해서 정교하게 잇는 방법도 있다.
mi dunda le cukta gi'a lebna lo rupnu vau do'나는 너에게 책을 준다'와 '나는 너에게 돈을 받는다' 중 1문장 이상이 참이다.
dunda
와 lebna
모두 x1은 mi
이고 x3는 do
이다. 이 점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gi'a
와 vau
를 사용하였다.
- TODO: 328쪽부터 정독...
첫번째 진리표에서 새로운 cmavo를 7개나 배웠다. 갑자기 너무 많은 cmavo가 나와 겁을 먹을 수도 있는데, 걱정하지말자. 앞으로 나올 cmavo들은 전부 .ija
, .a
, ja
, ga
, gi'a
를 조금씩 변형한 형태이다. 새로 배운 cmavo들을 머릿속에 잘 넣어두고 다음 진리표를 보자.
TTFT
앞 문장의 참/거짓 | 뒷 문장의 참/거짓 | 전체 문장의 참/거짓 |
---|---|---|
참 | 참 | 참 |
참 | 거짓 | 참 |
거짓 | 참 | 거짓 |
거짓 | 거짓 | 참 |
곰곰히 생각해보면 TTFT와 TTTF는 논리가 거의 똑같다. TTTF의 진리표에서 뒷 문장을 부정하면 TTFT가 된다.
- TODO: gi'a도 있음
- TODO: 3개 이상의 문장 접속하기: and랑 or은 그냥 이으면 되는데, 나머지는 붙이기 애매. 이건 어쩔 수 없음, 쓰는 사람이 알아서 조심해서 써야함
- 혹은
bo
사용 가능:ijabo
랑ije
랑 오면ijabo
의 precedence가 높음. 5장 참고
- 혹은
- TODO: 외국어를 로지반 식으로 쓰는 규칙이 있음. 그거 빨랑 익혀서 '철수', '영희'도 로지반스럽게 쓰기!
<< 13.1.x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