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cmavo gismu lujvo jufra

양화사

역자: 16장에서 설명하는게 술어논리의 양화사와 비슷해서 장제목을 양화사라고 붙였습니다. 사실 저는 논리학 전공자도 아니고 언어학 전공자도 아니기 때문에 틀릴 수도 있습니다.

존재양화사

아래 문장을 로지반으로 번역해보자.

Something sees me.
누군가 나를 본다.
viskax1x2를 보다, x3의 조건에서 mi

가장 간단하게 viska의 x1 자리를 생략해버리고 저렇게 썼다. 이건 맞는 번역일 수도 있고 틀린 번역일 수도 있다. viska의 x1을 생략하려면 x1 자리에 들어갈 것이 너무 당연해서 청자도 알고 화자도 알아야한다. 즉, "누가 날 보고 있는지 당연히 알테니까 굳이 말 안할게"라는 의미가 된다.

하지만 "누군지는 모르겠지만 누군가가 나를 보고 있어"라는 의미의 문장을 쓰고 싶을 수도 있다. 그럴 땐 아래처럼 쓴다.

da zo'u da viskax1x2를 보다, x3의 조건에서 mi
어떤 X가 존재한다. X가 나를 본다.

위 문장은 zo'u 앞뒤로 끊어서 읽어야 한다. zo'u 앞에서 da라는 변수를 정의하고, zo'u 뒤에서 변수 da를 사용했다. 한국어로는 da어떤 X라고 번역했다. 술어논리에서 변항이 하는 역할을 로지반에서 da, de, di가 한다.

또 다른 예시를 보자.

da de zo'u da pramix1x2를 사랑한다 de
어떤 X와 어떤 Y가 존재한다. X가 Y를 사랑한다.

이번에는 zo'u 앞에서 변수 dade를 정의했다. 혹은 아래처럼 한 변수를 2번 쓸 수도 있다.

da zo'u da pramix1x2를 사랑한다 da
어떤 X가 존재한다. X가 X(자기자신)를 사랑한다.

보편양화사

이번에는 어떤 X말고 모든 X라는 의미를 표현해보자. 로지반에서는 보통 ro라는 cmavo를 사용해서 모든이라는 의미를 나타낸다.

ro da zo'u da viskax1x2를 보다, x3의 조건에서 mi
모든 X에 대해서, X가 나를 본다.
세상의 존재하는 (존재했던, 앞으로 존재할) 모든 것이 나를 본다.

da대신 ro da라고 씀으로써 모든 (술어논리의 )이라는 의미를 표현했다. 한국어에서 모두가 나를 본다라고 말하면 청자가 적당히 "주변의 모든 사람이 나를 보는구나"라고 해석하지만, 로지반에서 ro da는 정말 "모든"이라는 의미가 붙으므로 위와같이 쓰면 아주 어색한 문장이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8장에서 배웠던 poi를 써야한다.

ro da poi gerkux1x2 종류의 개(dog)/개새끼(bitch)다 zo'u da vasxux1x2(기체)를 호흡한다
모든 개 X에 대해서, X는 숨을 쉰다.
모든 개는 숨을 쉰다.

풀어서 써보면,

  1. da라는 변수를 정의
  2. poi gerku를 이용해서 da는 강아지라는 의미를 더함
  3. ro를 붙여서 모든 강아지에 대해서,라는 의미를 표현

당연히 그냥 da에도 poi를 붙일 수 있다.

da poi prenux1은 사람이다 zo'u da viskax1x2를 보다, x3의 조건에서 la 철수
어떤 X가 존재한다, X는 사람이다, X는 철수를 본다.
어떤 사람이 철수를 본다.

poi prenuda를 꾸며주고 있다.

참고로, daro da는 양화사이기 때문에 존재를 함축한다. 즉, ro da poi gerku zo'u da vasxu라는 말에는 강아지가 존재한다라는 말이 함축되어 있다. 또한, da poi prenu라는 말을 쓰더라도 사람이 존재한다라는 말이 함축된다.

축약해서 쓰기

여기까지 읽었으면 da라는 단어가 불필요하게 반복된다는 느낌을 받았을 것이다. 그냥 da viska mi라고 해도 될 거 같은데 굳이 da zo'u da viska mi라고 쓴다는 느낌을 받았을 것이다. 당연히 zo'u의 앞부분은 생략할 수 있다. 생략하면서 ropoi가 붙어 있으면 뒤로 그대로 갖고 오면 된다. 지금까지의 예문들을 다시 써보면

da pramix1x2를 사랑한다 de
어떤 X와 어떤 Y가 존재한다. X가 Y를 사랑한다.
ro da poi gerkux1x2 종류의 개(dog)/개새끼(bitch)다 cu vasxux1x2(기체)를 호흡한다
모든 개는 숨을 쉰다.
da poi prenux1은 사람이다 cu viskax1x2를 보다, x3의 조건에서 la 철수
어떤 사람이 철수를 본다.

만약 한 변수가 2번 쓰이면 poi는 한번만 붙이면 된다.

da poi prenux1은 사람이다 cu pramix1x2를 사랑한다 da
어떤 사람이 자기자신을 사랑한다.

수량 표현

18장에서 다시 배우겠지만, ro는 수많은 수량표현 중 하나일 뿐이다. 즉, 로지반의 아무 수량 표현이나 가져다가 da에 붙일 수 있다. 예를 들어, re는 2라는 뜻이다.

re da poi prenux1은 사람이다 cu viskax1x2를 보다, x3의 조건에서 mi
어떤 사람 2명이 나를 본다.

ro da였으면 모든 사람이라는 의미였겠지만 ro대신 re가 붙어서 두사람이라는 의미가 됐다. 더 간략하게 쓰려면 아래처럼 쓸 수도 있다.

re prenux1은 사람이다 cu viskax1x2를 보다, x3의 조건에서 mi
어떤 사람 2명이 나를 본다.

이건 18장의 수량표현에서 다시 배울 것이다!


TODO: CLL 382쪽부터 마저 하기

메인으로 돌아가기

<< 15.3.cmavo_부정

18.0.숫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