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cmavo 목록gismu 목록

poi

7장에서 ti계열 cmavo를 이용해서 이것/저것/그것을 지칭할 수 있다고 배웠다. 한국어를 쓰면서 이것이란 말이 애매하다고 느껴질 때가 많지 않았는가?

다른 사람을 지목하면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고 생각해보자.

ti cu barda

저기서 ti가 그 사람을 가리키는 건지, 그 사람의 얼굴인지, 코인지 문맥만 가지고는 판단할 수가 없다. 이 상황에서 ti에 대한 부연설명을 하기 위해서 쓰는 cmavo가 poi이다.

ti poi ke'a prenu ku'o cu barda

poi는 바로 앞에 오는 sumti를 꾸며준다. ku'opoi절(clause)이 끝났음을 알려준다. poiku'o 사이에는 완전한 bridi가 등장하는데, 그 bridi에는 당연히 ti가 들어갈 자리가 있지 않은가? 그 자리에 쓰는 것이 ke'a이다.

즉, 위의 문장은

ti cu barda
ri cu prenu

라는 두 문장을 한 문장으로 쓴 것이다.

ke'aku'o는 쓰기 번거로울 때가 많아 거의 생략한다.

ti poi prenu cu barda

라고 쓰더라도 애매함이 없지 않은가? tiprenu이라는 것이 명백하고 cu가 있어서 ku'o가 필요가 없다.

poi, noi

sumti cmavo를 쓰는 상황이 아니더라도 poi를 쓸 일이 많다.

영어에서 which, that 등을 이용해서 부연설명을 하는 것처럼 poi, noi등을 사용하여 로지반에서 다른 sumti를 꾸며준다. 예시를 본 후 둘의 차이점을 살펴보자.

le gerku poi blanu cu barda

poi blanu를 제외하고 보면 저 개는 크다라는 아주 단순한 문장이다. poi blanu는 저 문장에서 le gerku를 수식하며, 파란 개라는 의미를 더해준다.

화자가 현재 크다고 말하고 있는 개가 다른 개가 아니고 파란 개라는 설명을 해주기 위해 poi가 쓰였다.

le gerku noi blanu cu barda

이번에는 poi대신 noi를 이용해서 gerku를 수식해봤다. poi를 쓰나 noi를 쓰나 한국어 해석에는 큰 차이가 없지만 맥락에 조금 차이가 있다.

poi는 제한적 용법, noi는 부연설명이다. 즉, poi가 쓰인 문장에서는 poi가 빠지면 문장이 애매해지지만 noi는 그렇지 않다.

le gerku poi blanu cu barda에서는 gerku가 여러 마리가 있는데 poi의 수식이 없으면 어떤 개를 지칭하는지 알 방법이 없다.

le gerku noi blanu cu barda에서는 noi의 수식이 없어도 의사소통에 아무 지장이 없지만 설명을 더 풍부하게 해주기 위해서 noi부가적으로 사용했다.


메인으로 돌아가기

<< 7.9.의문문

8.1.p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