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cmavo gismu lujvo jufra

fi'o

나는 너를 왼쪽 눈으로 본다

를 로지반으로 쓰려면 어떻게 해야될까? 일단 viska를 쓰면 될 것 같다. x1에 mi를 쓰고 x2에 do를 쓰자.

왼쪽 눈으로는 어떻게 써야할까? viska에는 ~를 사용하여가 들어갈 자리가 없다. pilno라는 단어가 x1은 x2라는 도구를 사용하여 x3라는 일을 한다.라는 뜻이니 이 단어의 x2를 가져오자.

이처럼 다른 단어의 sumti를 가져오기 위해 쓰는 cmavo가 fi'o이다.

mi viskax1x2를 보다, x3의 조건에서 do fi'o se pilnox1x2(도구)를 사용하다, x3를 목적으로 le zunlex1x2보다 왼쪽에 있다, x3 좌표계에서 kanlax1x2의 눈(eye)이다

저 문장에서 fi'oviska에게 새로운 sumti를 제공하고 있다. 그 sumti의 의미는 se pilno의 x1, 즉 ~를 사용하여라는 뜻이고, 그 sumti에 들어갈 단어는 le zunle kanla, 즉 왼쪽 눈이다.

pi'o

~를 사용하여라는 말을 할 일이 많을텐데 그때마다 fi'o se pilno라고 쓰기는 너무 귀찮지 않은가? 로지반에는 이처럼 자주 쓰이는 fi'o 표현들의 축약형이 있다. fi'o se pilnosepi'o라고 줄여 쓸 수 있다.

mi viskax1x2를 보다, x3의 조건에서 do sepi'o le zunlex1x2보다 왼쪽에 있다, x3 좌표계에서 kanlax1x2의 눈(eye)이다

아까보다 훨씬 더 간단하지 않은가?? 이는 pilno에게 pi'o라는 축약형이 있는 덕분이다. 이처럼 자주 쓰이는 gismu들은 축약형이 있고, 축약형이 있으면 fi'o를 쓰지 않아도 된다.

이런 축약형들을 BAI 축약형이라고 부른다.

ka'a

다른 축약형으로는 ka'a가 있다. klama의 BAI 축약형인데, 몇 번째 sumti를 쓰냐에 따라서 seka'a, teka'a, veka'a, xeka'a 등 다양하게 쓸 수 있다.

예를 들어보자. cadzu목적지의 sumti가 없다. 그럴 때 seka'a를 붙여서

mi cadzux1x2를 향해서 걸어가다 seka'a le zarcix1x2를 파는 시장이다, x3가 운영하는
나는 시장을 향해 걸어간다

와 같이 목적지의 의미를 쉽게 붙일 수 있다. 원래 cadzu의 x2는 표면이지만, seka'a를 이용해서 klama의 x2를 가져와서 썼다.

do bajrax1x2에서 달린다 veka'a lo djinex1은 원/고리 (모양 혹은 형체)이다, x2(재질)로 된, 내부 지름이 x3고 외부 지름이 x4
너는 원형으로 달리고 있어

klama를 이용한 또다른 예시이다. klama의 x4는 이동 경로를 뜻한다. bajra 뒤에 veka'a를 붙여서 이동 경로라는 의미의 sumti를 추가했다.

다른 축약형들

이런 식으로 다른 gismu의 sumti를 가져와서 쓸 수 있다. 이번에는 rinka라는 gismu를 보자. rinkax1은 x2의 (물리적인) 원인이다라는 의미이다. rinka의 축약형인 ri'a를 이용해서 원인이라는 의미의 sumti를 쓸 수 있다.

le spatix1x2 종의 식물이다 cu banrox1이 자라서 x2(나중 상태)가 되다, x3(원래 상태)에서 ri'a le nu do djacux1은 물이다 dundax1x2x3에게 주다 fi le spatix1x2 종의 식물이다

아직 nu가 무슨 뜻인지 모를텐데 그냥 뒤의 문장이 내가 그 식물에 물을 줬다라는 뜻인 것만 알고 있자.

ri'a부터 spati까지가 통째로 하나의 sumti로, banro의 x2 역할을 하고 있다. 원래 banro에는 자란 원인의 sumti가 없는데 ri'a가 그 역할을 하고 있다.

do'e

로지반에는 총 65개의 축약형이 있으며 모두 CVV혹은 CV'V의 형태를 갖는다. 65개 중 64개는 gismu에서 유래했다. gismu에서 유래하지 않은 축약형이 딱 하나 있는데, 바로 do'e이다.

lo nanmux1은 (인간)남성이다 be do'e le bertix1x2의 북쪽이다, x3 좌표계에서 cu klamax1x2를 향해 가다, x3에서 출발해서, x4의 경로를 통해서, x5를 타고 le tcadux1은 도시다, x2 광역권의
북쪽의 남자는 도시로 향했다

위 문장에서 le bertilo nanmu의 sumti이다. 분명 nanmu를 꾸며주는데 어떤 식으로 꾸며주는지는 애매하다. 이런 식으로 애매하게 수식을 하고 싶을 때 do'e를 쓴다. 영어로 하면 'man of north'같은 느낌이다.

역자: tanru가 아닌데 왜 be를 쓰는지 의문이 드실 수도 있습니다. 저도 그게 의문인데, 교과서에서는 be do'e를 하나로 묶어서 숙어처럼 많이 쓴다고 설명하네요. 그냥 묶어서 외우시면 될 것 같습니다.


TODO: 203쪽에 모든 BAI cmavo 목록 있음. 여기에도 정리해두기

TODO: 192쪽, 193쪽 이해하기


다른 축약형들

다음의 gismu 3개를 보자

bangu의 BAI 축약형은 bau이고, bapli의 BAI 축약형은 bai이다. 나는 로지반으로 말한다라는 문장을 쓰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tavla의 x4를 사용하는 방법도 있지만, 보통은 bau를 사용해서 표현한다.

mi tavlax1x2에게 x4(언어)로 x3(주제)에 대해서 말하다 bau la lojban

이렇게하면 bau la lojbantavla의 x2가 된다.

한 selbri에 BAI 축약형을 여러개를 붙일 수도 있다.

mi tavlax1x2에게 x4(언어)로 x3(주제)에 대해서 말하다 bau la lojban bai tu'a la frank
나는 프랭크의 강요에 의해서 로지반으로 말을 한다.

아직 tu'a 무슨 뜻인지 모를텐데, 11장에서 배울 예정이다. tu'a la frank프랭크와 관련된 어떤 사건 정도의 뜻으로만 알아두자.

bau la lojbantavla의 x2이고, bai tu'a la franktavla의 x3이다. 즉, bau는 내가 로지반이라는 언어로 말한다는 의미를 더해주고 bai는 내가 로지반을 쓰는게 프랭크의 강요에 의한 것임을 알려준다.

bau를 이용하면 아무 gismu에나 ~의 언어로라는 sumti를 붙일 수 있다.

mi cuskux1x3에게 x2에 대해서 말하다. (x4를 이용해서) bau la lojban
나는 로지반으로 말한다.
mi ciskax1(기록자)이 x2를 기록하다, x3(매체)에, x4(필기도구)를 이용해서 bau la lojban
나는 로지반으로 글을 쓴다.

메인으로 돌아가기

<< 9.2.se

9.4.bai_부정 >>